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日本語 Español ภาษาไทย Bahasa Indonesia Tiếng Việt Português Монгол العربية हिन्दी Русский ئۇيغۇر تىلى

미국 달러, 세계 기축통화 지위의 변화가 시작되었는가?

게시일: 2025-10-20

향후 10년 내에 세계 금융 구조는 근본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4년 말, 세계 통화 보유액에서 미국 달러의 비중은 57.8%에서 2025년 1분기 57.7%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한때 지배적인 존재였던 달러의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중국은 2025년 9월 기준으로 총 외환 보유액이 3조 3,39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중국은 지난 11개월 동안 금을 대량으로 매수해 보유량을 7,406만 트로이 온스(2,303.52톤)로 늘렸고, 그 가치는 2,830억 달러에 달합니다.


이와 같은 달러에서 금으로의 전략적 전환은 석유달러 시스템을 위협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 혁명과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과 맞물려 달러의 지배력이 다가오는 세대에서 가장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을 알립니다[1].


중국의 3조 3,000억 달러 외환보유고: 침묵 속 권력 경쟁

Illustration of USD Note rotating around earth

2025년 9월 기준, 중국의 외환 보유액은 3조 3,390억 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많습니다. 이는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미국 달러,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금 등 여러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베이징은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개입 없이도 통화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재정 상황 현재 데이터(2025년)
총 외환 보유액 3조 3,390억 달러(9월)
금 보유량 7406만 온스 / 2,303.52톤
금 보유량(가치) 2,830억 달러(9월)
미국 재무부 보유 자산 7,307억 달러(7월)
미국 재무부 보유액 최고치 1조 3,170억 달러(2013년 11월)
국채 감소 2013년 최고치 대비 -45%
준비금의 달러 점유율(2014년) 58% (최신 공식 데이터)


중국은 2013년 1조 3,170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미국 국채 보유액을 2025년 7월 기준으로 7,307억 달러까지 줄였습니다. 이는 45% 이상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중국은 미국 달러 자산에 대한 의존도를 체계적으로 줄여왔습니다.


중국의 금 매수: 다각화 전략

중국은 2025년 9월까지 11개월 연속 금을 매수하여 총 보유량을 7,406만 트로이 온스까지 증가시켰고, 그 가치는 2,830억 달러에 달합니다. 2024년 후반부터 2025년까지 금 매수는 급격히 가속화되었으며, 그 가치는 2025년 8월 2,540억 달러에서 9월 2,830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금 매수의 이유:


  • 달러 다변화: 미국 달러 변동성 및 잠재적 제재에 대한 노출 감소

  • 안전 자산 축적: 금은 무역 긴장과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준비 통화 준비: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가치 저장소 구축

  • 인플레이션 헤지: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통화 가치 하락으로부터의 준비금 보호


이러한 금 축적 전략은 달러화 자산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다른 중앙은행들의 행태를 반영합니다. 세계금협회(WGC)는 각국이 달러화 기반 금융 시스템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2024년과 2025년에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량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달러의 감소하는 준비금 점유율

국제통화기금(IMF)의 자료에 따르면 달러화의 세계 기축통화 지배력이 점진적이지만 명백하게 약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화의 세계 기축통화 점유율은 2025년 1분기에 57.7%로 하락하며 수년간의 하락 추세가 이어졌습니다. [2]


준비 통화 구성 2025년 1분기 2024년 말 경향
미국 달러 57.7% 57.8% 감소하다
유로 20.1% 19.8% 상승 중(2022년 후반 이후 최고치)
중국 위안 2.1% ~2.0% 천천히 상승하다
다른 통화 ~20.1% ~20.4% 조각난


이러한 변화는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달러의 역사적 지배력을 고려하면 상당한 변화를 의미합니다. 2000년대 초 달러는 전 세계 외환 보유액의 7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현재 57.7%의 점유율은 여전히 압도적이기는 하지만, 미국 통화 정책과 잠재적 제재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각국이 달러화 사용을 중단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석유달러 위협: 전기차 혁명과의 관계

석유달러 시스템은 전 세계 에너지 거래에서 미국 달러로 결제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전기차 혁명으로 인해 이 시스템은 큰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 전기차 판매 비중은 2025년 1/4에서 2030년까지 2/5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석유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전기차가 석유달러에 미치는 영향


  • 전기차 시장 침투율: 2025년 전 세계 판매된 자동차 중 1/4이 전기차, 2030년까지 2/5로 증가할 전망

  • 석유 수요 정체: 전기차 도입에 따른 석유 수요 감소 예상

  • 중국의 지배력: 중국은 2024년에 1,100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


석유에 대한 구조적 수요 감소로 인해, 각국이 에너지 거래에서 달러 의존도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 50년 동안 달러 수요를 지탱해온 핵심 메커니즘을 약화시킵니다.


러시아-유럽 에너지: 달러 의존도 지속

제재와 다각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럽은 여전히 러시아에서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거래가 달러의 역할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 2021년: 러시아는 EU 가스의 45%, 석유의 27%를 공급했습니다.

  • 2024-2025년: 가스의 경우 이러한 점유율은 약 19%, 석유의 경우 3%로 감소했습니다.

  • 제재에도 불구하고 파이프라인 가스 및 일부 석유 제품을 통한 무역은 계속됩니다.


유럽은 러시아의 에너지 의존도를 성공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지만, 러시아 가스에서 벗어나면서 중동 공급업체로부터 구매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았고, 특정 무역 경로가 변화하더라도 에너지 거래에서 달러의 역할은 유지되었습니다.


미국의 규제 강화: 탈달러화 가속화

미국 정부의 금융 제재와 규제 압력 증가는 달러의 약화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각국은 점차적으로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규제 강화의 잠재적 결과:


  • 달러화 약세: 더 많은 국가가 달러 노출 감소를 위한 중국의 모델을 따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 대체 지불 시스템: SWIFT를 우회하기 위한 중국의 CIPS(국경 간 은행 간 지불 시스템)와 같은 시스템의 성장

  • 금 결제: 국제 무역 결제를 위한 중앙은행 금 보유량 증가

  • 지역 통화: 위안-루블, 유로-위안 등 비달러 무역협정 강화

  • 디지털 통화 대안: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는 기술적으로 진보된 달러 대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막대한 외환보유고는 중국에 독보적인 레버리지를 제공합니다. 중국이 자국 보유 자산의 가치를 떨어뜨릴 만한 갑작스러운 대량 매도에 나설 가능성은 낮지만, 금, 원자재 및 기타 통화로의 점진적인 다각화는 위험 집중을 줄이는 합리적인 전략입니다.


달러의 남은 강세

달러는 여전히 준비 통화로서 중요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효과와 미국 경제의 규모, 군사적 우위 등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JPMorgan 분석가들은 달러화 폐지가 진행되고 있지만 "비교할 만한 이점을 가진 명확한 후속 통화가 없기 때문에 모든 전환은 점진적일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3]


결론: 달러의 침식, 붕괴는 아니다

Illustration of USD symbol in dark waters

미국 달러의 세계 기축통화 지위는 급격하게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향후 10년 동안 달러의 지배력은 서서히 침식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 전기차 혁명, 그리고 각국의 탈달러화 노력 등이 이러한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향후 가장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는 다극적 기축 통화 체제로, 달러, 유로, 위안, 금 등이 동등한 지위를 갖는 형태입니다.


면책 조항: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의존해야 할 금융, 투자 또는 기타 조언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그렇게 간주되어서도 안 됩니다. 본 자료에 제시된 어떠한 의견도 EBC 또는 저자가 특정 투자, 증권, 거래 또는 투자 전략이 특정 개인에게 적합하다고 권고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출처

[1] https://tradingeconomics.com/china/외환보유고

[2] https://www.reuters.com/business/dollar-cedes-ground-euro-global-reserves-imf-data-shows-2025-07-09/

[3] https://www.jpmorgan.com/insights/global-research/currencies/de-dolla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