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일: 2025-10-07 수정일: 2025-10-08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저항선 반복 테스트가 이루어질수록 매도 물량이 점차 흡수되어, 결국 돌파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가격이 같은 저항 구간을 여러 번 터치할수록 더 많은 트레이더들이 주목하지만, 그만큼 저항선 방어에 필요한 매도세는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저항선은 매도세가 집중되는 가격대로, 상승을 막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저항선은 여러 차례 테스트될수록 점차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격이 저항선에 도달할 때마다 매도 주문이 실행되어 남은 공급이 줄어듭니다. 3~4번째 테스트 시점이 되면, 꾸준히 매수세가 유입되어 매도 압력이 거의 소진되므로 돌파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즉, 과거에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했던 구간이라도, 반복된 테스트가 매도세를 소모시켜 균형이 수요 우위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저항선은 트레이더가 반전 구간, 이익 실현 목표, 돌파 진입 타이밍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준입니다. 또한 손절 위치나 수익 실현 지점을 설정하는 리스크 관리 도구로도 사용됩니다.
저항선이 반복 테스트 후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면, 돌파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고 포지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두 번 이상의 명확한 고점(가격 반전 지점)을 연결해 구간을 설정합니다.
저항선은 단일 선보다 가격대(zone)로 그리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최근 3~6개월 내 형성된 저항선일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50달러, 100달러, 500달러 등 심리적 가격대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한 차트에 저항선을 너무 많이 표시하지 말고, 가장 뚜렷한 2~4개만 남겨 명확하게 유지하세요.
가격이 저항선에 접근할 때마다, 해당 구간에 대기하던 매도 주문이 소화됩니다.
그런데 매수세가 꾸준히 유지되고, 각 반등 후 하락폭이 줄어든다면 이는 공급(매도세)이 고갈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3~4번째 테스트 이후에는 남은 매도 물량이 줄어들어 돌파 가능성이 재차 반등보다 커지게 됩니다.
이후 저항선이 돌파되면, 과거 저항 구간은 종종 새로운 지지선(서포트)으로 전환됩니다.
한 종목이 45~50달러 구간에서 횡보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50달러 테스트에서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되어 47달러까지 하락
두 번째 테스트에서도 돌파 실패했지만 하락폭은 48달러로 감소
세 번째 시도에서 가격이 50달러 부근에서 며칠간 버티며 매도세 흡수
트레이더 A는 49.80달러에 매수, 손절은 48.50달러로 설정하고 돌파를 예상합니다.
결과적으로 가격은 50달러를 돌파해 52.50달러까지 상승했고, 52달러에서 매도해 1주당 2.20달러(약 224달러 수익)를 실현했습니다.
이후 가격이 다시 50달러로 되돌렸을 때, 해당 구간이 지지선으로 전환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저항선을 돌파한 뒤에는 종종 이전 저항이 새로운 지지선으로 작용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돌파를 놓친 트레이더들이 재진입 매수 주문을 같은 구간에 배치
이전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한 트레이더들이 롱 포지션 전환
심리적 가격대가 돌파 후에도 계속 거래 집중 구간으로 작용
트레이딩 팁:
돌파 후 최소 2~3% 상승과 거래량 증가를 확인하고, 이전 저항 구간으로의 되돌림(pullback)에서 매수 진입하세요. 손절은 해당 구간 바로 아래에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강한 저항선 | 약한 저항선 |
---|---|
첫 반전 시 거래량이 많음 | 거래량이 적음 |
급격한 반전 발생 | 완만한 반응 |
가격이 크게 하락 | 소폭 조정만 발생 |
테스트 간격이 길고 드묾 | 며칠 간격으로 반복 테스트 |
급등 후 형성된 고점 | 완만한 상승 중 형성 |
이동평균선·피보나치와 겹침 | 단독으로 존재함 |
거래량 증가 + 반전: 매도세가 강해 저항 유지 가능성 높음
거래량 감소 + 반복 테스트: 매도세 약화, 돌파 가능성 커짐
돌파 시 거래량 급증: 진정한 돌파로 간주 가능
거래량 부진한 돌파: 가짜 돌파(fake breakout)일 확률 높음
저항 접근 시 저점을 높이며 접근
저항선 근처에서 가격이 일정 구간 머무름 (consolidation)
반전폭이 점차 줄어듦 (첫 테스트 -$5, 두 번째 -$2, 세 번째 거의 변화 없음)
거래량 증가와 함께 저항선 근처에서 횡보
강한 상승 캔들 또는 갭 상승으로 저항 돌파
실수 | 결과 | 해결책 |
---|---|---|
저항선은 항상 유지된다고 가정 | 돌파 기회를 놓침 | 거래량·저점 상승 여부를 확인 |
확인 없이 저항선에서 공매도 | 돌파 시 손실 확대 | 반전 신호(거래량 급증, 음봉 캔들) 확인 후 진입 |
테스트 시 거래량 무시 | 돌파 확률 오판 | 각 테스트 시 거래량 비교 |
모든 저항선을 동일하게 취급 | 잘못된 타이밍 | 주요 구간만 선정 (기간·빈도 고려) |
돌파 후 대응하지 않음 | 재진입 기회 상실 | 이전 저항 구간에 재매수 알림 설정 |
전문 트레이더들은 일간, 주간, 월간 차트를 함께 분석해 여러 시간대의 저항선이 겹치는 구간(저항선 컨플루언스)을 찾아냅니다. 이러한 구간은 강력한 매도 벽이 형성되어, 돌파 전후의 거래 전략에 핵심 포인트가 됩니다.
또한 거래량 프로파일(volume profile)을 분석해 매도 주문이 집중된 가격대를 파악하고, 각 테스트 후 주문이 소진되는지 또는 새로 추가되는지를 모니터링합니다.
돌파 후 거래량이 약할 경우에는 조정 매매를 피하고, 가격이 저항선을 다시 테스트해 지지로 전환되는 구간에서 재진입하는 보수적인 전략을 선호합니다.
지지 수준: 매수 관심이 발생하고 추가 하락을 막는 가격 지점으로, 종종 저항선의 반대 수준입니다.
돌파: 가격이 저항선 위로 또는 지지선 아래로 움직이는 현상으로, 잠재적인 추세 변화 또는 지속을 나타냅니다.
볼륨 프로필: 각 가격 레벨에서 거래 활동량을 보여주는 도구로, 강력한 저항 또는 지지 구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역할 반전: 돌파 후 기존 저항선이 새로운 지지선으로 바뀌거나, 그 반대의 패턴입니다.
저항선은 반복 테스트 후에도 항상 유지되지 않습니다. 각 테스트마다 매도 물량이 점점 소진되면서 돌파 확률이 높아집니다.
거래량 감소, 저점 상승, 반전폭 축소 등의 신호가 나타난다면 다음 테스트에서는 돌파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또한 저항선 돌파 후에는 이전 저항이 새로운 지지선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구간의 재진입 기회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